기사 메일전송
보건의료노조 "의협, 의료 사망선고 아니라 의료 살려야할때"
  • 편집국
  • 등록 2024-05-30 12:47:18
  • 수정 2024-05-31 10:38:42

기사수정

보건의료노조 "의협, 의료 사망선고 아니라 의료 살려야할때"


"백일간 현장 지켰는데 생존권 박탈…진료정상화 투쟁"


'끝 모르는 의정갈등''끝 모르는 의정갈등' (대전=연합뉴스) 이주형 기자 =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대전충남지역본부 관계자들이 29일 오전 대전 충남대병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병원 정상화를 촉구하고 있다. 2024.5.29 coolee@yna.co.kr


(서울=연합뉴스) 권지현 기자 = 보건의료 노동자들은 '한국 의료 사망선고'라는 이름으로 대규모 촛불집회를 여는 의사단체를 향해 "사망선고 집회를 할 때가 아니라 의료를 살리기 위해 진료 정상화와 대화에 나서야 할 때"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100일이 넘게 환자 곁을 지켜왔지만 병원 경영위기를 핑계로 생존권을 박탈당하고 있다"며 "진료 정상화 투쟁을 전개하겠다"고 예고했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은 30일 이같은 내용의 '의대 증원 확정과 경영위기 책임전가에 대한 입장문'을 발표했다.


노조는 입장문에서 "전공의들의 집단 진료 거부로 경영난을 겪는 수련병원들이 무급휴가, 무급휴직, 명예퇴직 등으로 경영위기 책임을 노동자에게 전가하고 있다"며 "최근에는 임금체불과 부서 통폐합, 인력 구조조정까지 언급된다"고 호소했다.


노동자들은 "지난 100여일 동안 의사 진료거부 사태로 피해와 고통을 당하는 환자 곁을 묵묵히 지켜왔는데 임금체불과 인력 구조조정 등으로 병원 노동자들의 생존권마저 빼앗겠다고 한다"며 "도대체 의사 진료거부 사태로 인한 경영위기 책임은 누가 져야 하느냐"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병원 측은 조속한 진료 정상화를 위해 전공의들이 환자 곁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일대일로 설득하고, 전공의 근무환경과 처우 개선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련병원을 운영하는 법인과 재단 등에는 "임금체불과 인력 구조조정을 막기 위해 모든 재정 수단을 총동원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노조는 "한 곳의 병원에서라도 임금체불이나 인력 구조조정이 발생한다면 노조 전체 차원에서의 전면 투쟁을 전개하겠다"고 밝혔다.


또 이와 별개로 의사들의 의대 증원 백지화 주장과 진료 거부의 부당성을 비판하는 진료 정상화 투쟁을 국민들과 전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보건의료노조는 의사들에게는 "언제까지 의대 증원 백지화를 내걸고 환자를 내팽개칠 것이냐"며 "애당초 전공의 진료거부는 명분이 없었고 백지화 주장은 옳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노조는 "필수·지역·공공의료를 살리기 위한 의사 충원 방안은 내놓지 않으면서 백지화를 내걸고 환자 진료와 의료개혁 대화를 거부하는 것은 국민의 동의와 지지를 받을 수 없다"며 "백지화를 주장할 단계는 지났고, 지금은 증원이 옳은가를 놓고 싸울 때가 아니라 의료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를 놓고 국민이 공감하는 해법을 마련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날 오후 대규모 촛불집회를 예고한 대한의사협회를 향해서는 "'한국의료 사망선고' 집회를 할 때가 아니라 의료를 살리기 위해 조속한 진료 정상화와 올바른 개혁을 위한 대화에 나서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정부에는 "의료위기를 더 장기화해서는 안 된다"며 "정부는 전공의들의 조속한 현장 복귀를 위한 모든 조치를 강구하고, 수련병원 경영 위기를 실질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지원방안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fat@yna.co.kr


(끝)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error: 관리자에게 문의하여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