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차단기 내려진 言路
  • 뉴스관리자
  • 등록 2007-10-08 18:51:20

기사수정
차단기 내려진 言路



사람의 일생은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하는 것으로 이루어집니다. 무엇을 생각했고, 왜 말했고, 어떻게 행동 했는지에 따라 뼈만 남겼는지 아니면 명성을 남겼는지가 구별 될 뿐 입니다. 그래서 ‘그 놈의 헌법’도 국민의 기본 권리로 이를 인정 하고 있습니다.

취임 이래 줄곧 언론에 대한 불신과 불평을 토해 오던 노무현 대통령이 끝내 기자들이 ‘죽치고 앉아 있던’ 기자실에 ‘대못질’을 했습니다. 그러고는 프로듀서들과는 달리 기자들을 상종하기도 싫은 부류로 편까지 갈라 놓았습니다. 한솥밥 먹던 여권인사들의 만류에도 뜻을 굽히지 않았습니다.

중국사에 불후의 기록인 ‘사기(史記)’를 저술한 사마천(司馬遷)의 집념이 문득 떠 오릅니다. 바른 말을 참지 못하는 그는 흉노를 정벌하러 갔다가 포로가 된 장군 이능(李陵)의 멸문지화를 막으려다 궁형(宮刑)을 받고도 자진(自盡)하지 않고 통사(通史)를 기록한 진정한 언론인 입니다.

이능은 한 무제(武帝 BC 156~87) 만년 즈음, 5000의 군사를 이끄는 별동대장으로 흉노정벌에 나섰다가 포로가 되었습니다. 이듬해 죽은 줄 알았던 그가 흉노의 두터운 대접을 받고 있다는 정보를 접한 무제는 이능의 일족을 모두 죽이라고 명했습니다. 어느 한 사람 그를 변호하는 자가 없는 가운데 사마천이 직언을 했습니다.

“이능은 소수 병력으로 오랑케 왕을 떨게 헸습니다. 그러나 원군은 오지 않고 내부 배반자가 나와 부득이 항복했다고 생각합니다. 그가 항복한 것은 어쩌면 뒷날 한(漢)에 보답할 의도가 있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사마천은 국사(國士) 로서의 이능의 기질을 꿰뚫어 보고 적극 변호 했습니다.

바른 말은 끝내 통하지 않았고, 무제는 그를 궁형에 처했습니다. 궁형은 수염이 없어지고 얼굴이 희멀게지며 성격까지 변하는 모진 형벌입니다. 그런 수모를 당하고도 사마천은 왜 목숨을 끊지 않았을까요. 그것은 사기를 완성하기 위해서 였습니다.
그의 아버지 사마담(司馬談)은 대를 이은 사관(史官)이면서도 천자가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봉선(封禪)의식에 병으로 참가하지 못해 홧병으로 죽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아들에게 “통사를 기록하라”는 유언을 남겼습니다. 스스로 ‘최하등의 치욕’이라고 한 형벌을 받았지만 사마천은 유언의 실천에 평생을 바쳤습니다.

그는 세인들이 “내가 형을 받은 것 쯤은 구우(九牛)가 일모(一毛)를 잃은 것 정도로 밖에 생각하지 않을 것” 이라며 사기 130권을 완성 했습니다. 죽음을 무겁게 보고 가벼이 죽을 수 없는 때도 있고, 가볍게 보고 한 목숨을 버리는 때도 있습니다. 사마천의 삶은 ‘사느냐 죽느냐, 그것이 문제’라는 햄릿의 독백 이상의 처연함을 말해 줍니다.

지난달 17일 미얀마 양곤에서 치안부대와 민주화 시위대의 충돌 현장을 취재하다 총탄에 맞아 사망한 일본인 기자 나가이 겐지(長井健司, 50)의 죽음은 숙연함을 더 해 줍니다. 총알이 심장을 관통 했는데도 그는 고개를 쳐들면서 쫓겨가는 시위대 쪽으로 카메라를 돌렸습니다. 1~2초 뒤 카메라를 쥔 그의 오른손은 땅에 떨어지고 말았습니다.

분쟁과 전쟁 현장을 누비고 다녀 ‘전장의 저널리스트’로 불리는 그는 생전에 “왜 위험한 곳만 다니느냐”는 질문에 “누구도 안가는 곳에는 누군가 가야 한다”고 말했다고 합니다. 눈을 감는 최후의 순간까지 본분을 다 하려고 사력을 매진한 그는 진정 기자정신의 심벌 입니다.

언론을 ‘사회의 목탁’이라고 합니다. 사회에서 계몽의 역할을 한다는 뜻입니다. 공자가 노(魯)나라 관직을 그만두고 여러 나라를 주유하는 여행길에 올랐습니다. 위(衛)나라에 갔을 때, 한 국경 수비대장이 “하늘이 선생님을 목탁(木鐸)으로 사방을 유력(遊歷)하게 하는 것은 크게 문교(文敎)를 일으키려는 것”이라고 제자들을 위로한 말에서 유래된 것입니다.

입신출세 면에서 공자의 불운을 백성을 위한 하늘의 뜻으로 본 관(關)지기의 식견이 돋보이는 대목입니다. 그 이후로 문사(文事)포고 때는 목탁(겉은 금속이고 속은 나무로 된 커다란 방울)을 울려 사람들을 모았고, 무사(武事)에는 금탁(金鐸) 을 울렸다고 합니다.

물론 목탁임을 자처하는 언론이 항상 바른 말과 보도만 해 온 것은 아닙니다. 더러는 사실을 왜곡·조작하기도 했고, 권언유착으로 국민을 호도한 예도 있습 니다. 그래서 삐딱한 언론이 못 마땅해 신문고에 못질을 하고 언로에 차단기를 설치했는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개방된 나라의 현자들은 언론의 계몽과 감시기능을 결코 간과하지 않았 습니다. 디오게네스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은 언론의 자유”라 했고, 볼테르는 “영국이 진정한 자유 국가가 된 것은 언론의 자유 때문”이라고 감히 말했습니다.

미국의 우드로우 윌슨 대통령이 1919년 파리성명에서 언급한 언론관도 반추해 볼 명언이 아닌가 합니다. “나는 언제나 최대의 언론 자유는 가장 안전한 것 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 중의 하나다. 어떤 사람이 바보인 경우 취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그가 마음대로 지껄이게 하여 그 자신이 바보라는 사실을 널리 광고하게 하는 것이다.”

선비의 말이 맵다고 혀를 뽑으려 드는 것은 어리석은 짓이라는 경종이 아닌가 합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계룡시, 국립국악원 ‘세계가 인정한 우리 음악과 춤’ 성료 계룡시, 국립국악원 ‘세계가 인정한 우리 음악과 춤’ 성료계룡시(시장 이응우)는 지난 18일 계룡문화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세계가 인정한 우리 음악과 춤’ 공연을 성료했다. 이번 공연은 궁중예술에서 민간예술까지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된 작품 공연을 통해 우리문화의 아름다움을 한껏 뽐냈다는 평을 받았다. ...
  2. 논산 수해복구에 '구슬땀'…피해 큰 곳부터 자원봉사자 투입 논산 수해복구에 '구슬땀'…피해 큰 곳부터 자원봉사자 투입(논산=연합뉴스) 이주형 기자 = 지난 10일 중부지방 폭우로 광범위한 피해를 본 충남 논산시가 복구작업에 전념하고 있다.논산시는 12일 각 읍면동 사무소를 중심으로 호우 피해 조사를 실시하면서, 자원봉사 인력을 투입해 복구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시는 이날 육...
  3. 2천㎞ 날아온 후티 드론…이스라엘, 6분간 추적하고도 격추 못해 2천㎞ 날아온 후티 드론…이스라엘, 6분간 추적하고도 격추 못해이집트 영공으로 우회해 지중해 방면서 저고도로 진입한 듯(이스탄불=연합뉴스) 김동호 특파원 = 이스라엘의 심장부 텔아비브를 공격한 예멘 후티 반군의 무인기(드론)가 2천㎞ 넘는 거리를 날아와 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일간 타임스오브이스라엘이 20일(현지시간) 보도했..
  4. 백성현 논산시장, “매년 반복되는 상습 침수 피해, 근본적인 문제 해결 시급” 백성현 논산시장, 농림축산식품부에“상습침수구역 농업생산기반시설 개선 및 확충 지원”요청백성현 논산시장, “매년 반복되는 상습 침수 피해, 근본적인 문제 해결 시급” 백성현 논산시장이 농림축산식품부 강형섭 기획조정실장에 “매년 반복되는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관내 수리시설을 확충하고 개선하는 것이 최우.
  5. 논산시, 600억원 규모 충청남도 지역균형발전사업 선정 논산시, 600억원 규모 충청남도 지역균형발전사업 선정  논산시(시장 백성현)가 국방군수산업도시 조성 등 민선8기 핵심사업비를 확보하면서 사업 추진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시는 충청남도의 ‘제2단계 제2기 지역균형발전사업 공모’에서 3개 사업이 선정되어 총 사업비 600억원을 확보했다고 전했다. 3개 사업은 도 제안사업...
  6. 기고"]선거의 무게 참으로 무겁습니다." "선거의 무게 참으로 무겁습니다.  민주주의는 참으로 다양한 뜻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먼저 민주주의 하면 국민의 자유와 평등을 보장하는 정치체제를 의미합니다. 여기에 더하여 선거에 의한 정치 권력의 교체가 가능한 것을 말합니다.  민주주의는 그 말이 너무나 좋기 때문에 사실 많이 왜곡하여 사용하여 있고 민주적이지 못한 .
  7. " 다산논어"다산 정약용 선생이 논어를 번역하다, 『다산 논어』는 다산 정약용(1762~1836)이 1813년 완성한 『논어고금주』에 바탕하여 『논어』를 번역, 해설한 것이다. 『논어고금주』는 『논어』에 대한 다산의 주석서로 『논어』를 공자의 원의에 맞게 읽는다는 기획으로 집필되었다. 그 이름이 『논어고금주』인 것은 다산이 이 주석서에서 『논어』의 고주와 금주를 망라하여 좋은 견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