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가석학' 이기명 고등과학원 부원장, 정년후 중국 BIMSA서 연구
  • 편집국
  • 등록 2024-06-22 17:21:50

기사수정

'국가석학' 이기명 고등과학원 부원장, 정년후 중국 BIMSA서 연구


초끈이론·양자역학 등 연구성과…2014년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


 이기명 고등과학원 부원장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나확진 기자 = 2006년 '국가석학'(Star Faculty)에 선정된 물리학자 이기명(65) 고등과학원 부원장이 오는 8월 고등과학원에서 정년퇴임 한 이후 중국 연구기관으로 옮겨 연구를 계속한다.


이 부원장은 22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베이징 옌치후 응용수학연구원(BIMSA)의 제의를 받아 앞으로 5년간(기본 3년+연장 2년) 그곳에서 교수로 연구 활동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부원장은 우주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를 끊임없이 진동하는 끈으로 보고 우주와 자연의 궁극적인 원리를 밝히려는 '초끈이론'과 양자역학 등 분야 등에서 많은 연구성과를 남겼다.


이미 2006년 세계과학기술논문 인용색인(SCI) 피인용 횟수가 2천735회에 이르는 등 연구성과를 인정받아 '국가석학'으로 선정됐으며, 2014년에는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을 받았다.


그는 초끈이론 분야에서 모든 중력현상에 대한 양자중력이론을 설명하는 주요 주제인 M2면체와 M5면체 등에 관해 여러 논문을 발표했으며, '초대칭적 천사이먼스 이론'(Chern-Simons theories)과 5·6차원에서의 '초등각이론', '초대칭양밀스이론'(Yang-Mills theories) 등 분야의 국내 연구 수준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부원장은 "양자장(量子場·quantum field)론과 초끈이론 등 우주의 근본적인 법칙에 대한 구조를 계속 연구하고자 한다"며 "이 분야 자체가 엄청나게 큰 분야이기에 계속해서 논문과 주변과의 교류 등 연구를 통해 기여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 부원장은 서울대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컬럼비아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같은 학교에서 조교수·부교수로 근무했으며, 귀국해 서울대 물리학과에 재직하다 1999년부터 고등과학원으로 옮겨 지금까지 재직하고 있다.


이 교수가 근무하게 될 BIMSA는 베이징시와 칭화대의 공동 지원으로 2020년 설립됐으며, 필즈상 수상자인 중국계 미국인 수학자 싱퉁 야우 교수가 원장을 맡고 있다.


rao@yna.co.kr


(끝)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error: 관리자에게 문의하여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