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정영환 "국민 총선 심판에도 6석 더 줘…한동훈 엄청난 기여"(종합)
  • 편집국
  • 등록 2024-05-17 20:59:13

기사수정

정영환 "국민 총선 심판에도 6석 더 줘…한동훈 엄청난 기여"(종합)


이철규 "총선백서 작성, 누구 책임 묻자는 것 아닌데 과도한 공격 이뤄져"


총선백서특위, 공관위원 면담…조정훈 "변화엔 늘 저항 있어"


발언하는 정영환 전 공천관리위원장발언하는 정영환 전 공천관리위원장 (서울=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국민의힘 정영환 전 공천관리위원장이 17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제22대 총선백서 특별위원회 전체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2024.5.17 kjhpress@yna.co.kr


(서울=연합뉴스) 정아란 김치연 기자 = 정영환 전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장은 17일 4·10 총선 결과에 대해 "현명한 주권자 국민이 2020년 21대 총선보다 이번 22대 총선에서 (국민의힘에) 6석을 더 주셨다"고 자평했다.


정 전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 총선백서특별위원회 회의에서 "국민께서는 이번 총선을 통해 국민의힘에 엄중한 심판을 하시면서도 희망의 그루터기를 주셨다"며 이같이 밝혔다.


국민의힘이 지역구 의석수로는 지난 총선 때 84석보다 6석을 더 얻은 점에 의미를 부여한 것이다.


정 전 위원장은 공천 과정에 대해선 "10명 공관위원 모두 사심이 아닌, 공심을 갖고 공천 관리에 임했다. 데이터에 기초한 시스템 공천을 했다"며 "부족한 점은 있지만 시스템 공천의 최소한 기초를 다졌다"고 자평했다.


그는 "우리 공관위는 외부 영향이 없었다"며 "그게(영향이) 의원들을 통해 들어올 수도 있지만 10명이 다 동의해야 하기 때문에 마음대로 하기 어려운 구조였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날 여의도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선 '한동훈 총선 패배 책임론'에 대해 "그 양반이 책임 있으면 나도 100% 책임 있는 것이고, 윤석열 대통령도 책임 있는 것"이라며 한 전 위원장을 감쌌다.


이어 "한 전 위원장이 안 왔으면 판이 안 바뀌었을 것"이라며 "마지막 순간까지 해볼 만하지 않았나. 그러니까 엄청나게 기여한 것"이라고 두둔했다.


그는 또 중대 과제 중 하나로 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 기능이 강화돼야 한다며 "여연이 좀 더 세밀하게 후보들에게 제시했으면 (좋았을 것이다). 후보들은 '깜깜이'이지 않느냐"고 지적하기도 했다.


발언하는 이철규 의원발언하는 이철규 의원 (서울=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국민의힘 이철규 의원이 17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제22대 총선백서 특별위원회 전체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2024.5.17 kjhpress@yna.co.kr


친윤(친윤석열)계 핵심인 이철규 의원은 총선백서특위 회의에 전 공관위원 자격으로 참석해 "공천 과정에 어떠한 일들이 있었는지, 또 어떠한 기준에 의해 공천 과정이 이뤄졌는지를 명백히 밝힘으로써 다시는 실수들이 재발하지 않고 발전을 위한 자료를 만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백서는 누구를 공격하고, 누구에게 책임을 묻자고 하는 게 아니다"라며 "백서 작성과 관련해 과도한 공격이 이뤄지고, 중요한 자리에 많은 분이 함께하지 못한 안타까운 현실에 이 부분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조정훈 총선백서특위 위원장은 "변화는 늘 저항을 마주할 수밖에 없다"며 "(변화와 저항) 두 개의 힘이 하나로 일치하는 순간 국민의힘은 이기는 정당, 더 강한 정당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총선백서특위 회의에 정 전 위원장을 제외한 외부 공관위원은 모두 불참했다. 당연직 공관위원이었던 장동혁 의원은 오동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 후보자 인사청문회 일정으로 불참했다.


비공개회의에서는 설화로 지역구 공천이 취소된 도태우·장예찬 후보 건에 대한 논의도 있었다고 한다.


조 위원장은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도태우, 장예찬 후보 공천에 관한 논의, 전반적으로 공관위에 영향을 미쳤던 요소들, 특히 대통령실 입김이 있었는지, 공관위를 넘어 지도부 입김이 있었는지 민감한 질문을 다 주고받았다"고 설명했다.


다만 비례대표 공천의 경우, 비례대표 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 공관위원 3명이 담당했기에 이날 논의되지 않았다.


조 위원장은 한 전 비대위원장 면담 일정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며 "우리가 해야 할 숙제를 다 마치고, 이번 주 마무리된 설문 조사 결과 분석을 갖고서 한 위원장 입장을 들으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음 달 중하순께 발표회를 열어 백서의 주요 내용을 공개한 뒤에 출판 작업을 진행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airan@yna.co.kr


(끝)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error: 관리자에게 문의하여 주십시오.